냄새 이야기

냄새이야기로 알아보는 냄세와 냄새

에어클리닉 2024. 11. 29. 19:00
반응형

아주 가끔씩 냄새와 냄세를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정확한 명칭은 냄새입니다. 냄새는 공기중에 퍼져 있는 기운을 코로 맡아 감지할 수 있는 향기나 악취 또는 그외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반면 냄세는 잘못된 표기로 표준어에 맞지 않는 표현이구요.

 

냄새와 냄세

 

 

 

‘냄새’라는 단어의 어원은 고유어에서 기원하며, 우리말에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어 온 순수한 한국어입니다. ‘냄새’는 **‘내음’**과 **‘-새’**가 결합된 형태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 ‘내음’

‘내음’은 우리말에서 ‘냄새’를 의미하는 어근으로, 주로 좋은 향기나 자연의 기운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숲의 내음’, ‘꽃 내음’처럼 쓰이며, 향기나 기운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내음’이 ‘냄’으로 축약되며 냄새의 일부분을 형성하게 된 것입니다.

 

2. ‘-새’

‘-새’는 ‘내음’의 기운이나 느낌이 퍼져 나가는 상태를 의미하며, 그 기운이나 성질을 나타내는 접미사로 기능합니다. 여기서 ‘-새’는 감각적으로 느껴지는 어떤 기운을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모양새’나 ‘빛깔새’에서와 같이, ‘새’가 감각적 인식을 표현하는 용도로 쓰인 것입니다.

 

따라서 ‘내음’과 ‘-새’가 결합하여 ‘냄새’가 되면서 **‘공기 중에 퍼져 있는 기운이나 향기를 코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게 된 것입니다. 이는 시각, 청각, 촉각과 달리 후각으로 인지되는 독특한 감각을 지칭하는 단어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오늘날에는 향기와 악취 모두를 아우르는 폭넓은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어원적 배경을 바탕으로, ‘냄새’는 오랜 역사와 문화 속에서 발달된 한국어의 고유한 표현이며, 감각을 통해 자연과 환경을 느끼는 방법을 반영한 언어적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냄새와 냄세

 

 

 

 

왜 ‘냄세’가 헷갈릴까요?

우리말에서 ‘ㅅ’ 받침 뒤에 오는 ‘ㅐ’가 때때로 ‘ㅔ’ 소리로 발음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일상적으로 말을 할 때는 ‘냄세’처럼 들리기 쉽습니다. 특히, 발음만으로 단어를 기억하는 습관이 있으면 더욱 혼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냄세’라는 표현이 온라인이나 문자 등에서 종종 잘못 사용되기도 하면서, 사람들이 더 헷갈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표기는 **언제나 ‘냄새’**입니다.

 

 

 

예문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해볼까요?

  • 올바른 표기: 오늘 길을 걸으면서 꽃의 냄새를 맡았어.
  • 잘못된 표기: 오늘 길을 걸으면서 꽃의 냄세를 맡았어.
  • 방구냄새 지독 / 방구냄세 지독
  • 냄새 향기 / 냄세 향기
  • 입냄새 / 입냄세
  • 배꼽 냄새 / 배꼽 냄세
  • 냄새 맡다 / 냄세 맡다
  • 겨드랑이 냄새 / 겨드랑이 냄세
  • 입냄새원인 / 입냄세 원인
  • 소변 냄새 / 소변 냄세

혹시 향기나 악취 등을 표현할 때 ‘냄세’로 쓰고 있었다면, 앞으로는 꼭 **‘냄새’**로 써주세요. ‘냄새’는 감각을 통해 느낄 수 있는 향이나 기운을 뜻하는, 정확하고 아름다운 우리말 표현입니다.

 

 

 

냄새측정기 OMX-SRM 사용방법

냄새측정기 OMX-SRM은 일반적으로 어느 환경에서나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냄새측정기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적인 냄새 즉, 악취와 향기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airclinic.co.kr

 

반응형